창업 그리고 초기 3년, 이것만은 알아야 한다 5

[적격 증빙 가이드]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는 사업자가 있다?|간이과세자와 세금계산서|영수증 발급 사업자와 세금계산서

이전 포스팅에서는 세금계산서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wisdomsupport.tistory.com/9 [적격 증빙 가이드] 세금계산서와 현금영수증의 차이 |필요적 기재사항과 임의적 기재사항앞선 포스팅에서 정규 영수증 제도(적격 증빙)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https://wisdomsupport.tistory.com/8 [적격 증빙] 정규영수증(적격 증빙)을 안 받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 정wisdomsupport.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세금계산서는 기본적으로 '사업자들 간의 거래'에 해당하면 발급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모든 사업자들이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사업자들 중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못하는 사업자..

[적격 증빙 가이드] 세금계산서와 현금영수증의 차이 |필요적 기재사항과 임의적 기재사항

앞선 포스팅에서 정규 영수증 제도(적격 증빙)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https://wisdomsupport.tistory.com/8 [적격 증빙] 정규영수증(적격 증빙)을 안 받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 정규영수증 제도 총사업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세무 상식 중 하나가 적격 증빙에 대한 의무와 관련된 것이다. 세무대리인을 쓰는 사업자라면, 세무대리인들에게 '적격 증빙 수취 하셨어요?'와 같은 질문을 들wisdomsupport.tistory.com  우리나라 세법에서 인정하는 적격 증빙은 아래 네 가지가 있다. 세금계산서계산서현금영수증신용카드매출전표현금영수증과 신용카드매출전표의 경우 우리가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도 자주 활용하던 것이기 때문에 익숙할 것이다. 그러나, 세금계산서와 ..

[적격 증빙 가이드] 정규영수증(적격 증빙)을 안 받으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 정규영수증 제도 총 정리!

사업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세무 상식 중 하나가 적격 증빙에 대한 의무와 관련된 것이다. 세무대리인을 쓰는 사업자라면, 세무대리인들에게 '적격 증빙 수취 하셨어요?'와 같은 질문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정규 영수증 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적격 증빙을 수취하지 않을 경우 어떤 불이익을 볼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 Q. 적격증빙(정규영수증)은 어떤 종류가 있나요? A. 세법에서 인정하는 정규 영수증(적격증빙)으로는 세금계산서, 계산서, 신용카드매출전표, 현금영수증 4가지가 있습니다.   1. 신고납부제도와 탈세방지 시스템2. 부가가치세와 정규 영수증(적격 증빙) 제도3. 종합소득세와 적격 증빙 미수취 가산세, 그리고 세무조사 대상 선정  신고납부제도와..

업태와 종목 (2) 한국표준산업분류, 국세청 업종코드의 차이는 무엇일까?

업태와 종목 1편에서는 업종 선택에 따라 세법 제도 적용 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받는지 6가지 측면으로 정리해 보았다. 2024.08.26 - [창업상담소/세무가이드] - 업태와 종목 (1) 업종 선택에 신중해야 하는 이유업태와 종목 2편에서는 사업자 등록 시 업종코드를 어떻게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해 행정적인 면서 살펴보려 한다. 업종분류의 기본 - 한국표준산업분류 우리나라의 업종 분류는 기본적으로 통계청에서 고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를 따른다. https://kssc.kostat.go.kr:8443/ksscNew_web/index.jsp# 통계분류포털kssc.kostat.go.kr:8443 통계청(통계분류포털) > 경제분류 > 분류내용보기(해설서) 경로를 통해 업종을 검색해 볼 수 있다. 한국표..

업태와 종목 (1) 업종 선택에 신중해야 하는 이유

창업을 하기로 결심하였다면 사업자 등록을 하기 전에 업태와 종목(줄여서 '업종')을 결정해야 한다. 세법은 같은 제도라 하더라도 어떤 업종이냐에 따라 효과를 다르게 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업종은 내가 원하는대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원칙적으로는 "현재 내가 영위하고자 하는 업종의 실질"에 맞는 업종을 선택해 사업자 등록을 해야한다. 그러나 하나의 사업이 한가지 업종으로 딱 떨어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 내가 하고자 하는 사업이 속할 수 있는 업종의 가짓수가 여러가지 있다면 절세 혜택을 받는데 가장 유리한 업종을 선택해야 한다. 당장은 세무사 회계사 사무실에 장부 기장을 맡기지 않더라도 창업 시점에 전문가의 상담을 꼭 한번 받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사업의 실질을 잘 파악해서 납세자에게 가..